꽃담에 대상으로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8 05:21
본문
Download : 꽃담에 대해서.hwp
송(宋)나라 주돈이가 [애련설(愛蓮說)]에서 `당나라 이래로 세상 사람들이…(생략(省略))
생활과디자인[1]
,인문사회,레포트






꽃담에 대한 설명과 우리나라와 중국의 꽃담 문양과 비교하여 쓴 글입니다.
레포트/인문사회
다. 전설적인 산 곤륜산에 살고 있는 신선 서왕모가 가꾸었다는 천도(天桃)는 3천년만에 한 번 꽃이 피고 3천년만에 열매를 맺는다고 한다. 송나라 때 모란은 부귀화 또는 `꽃 가운데 왕자[花中之王]`이라는 별명을 가지게 되었다. 장수를 축원하는 그림가운데 [수성노인도(壽星老人圖)]가 있는데 수성노인이 복숭아를 손에 들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밖에도 복숭아는 십장생도류의 그림에 주인격으로 등장하고 있다
모란꽃 문양은 연꽃보다 약 천년 뒤에 나타났다. 당나라 측전무후 때 장안에 모란이 크게 번성하였다고 하며 당나라 이래 모란꽃은 번영 창성(昌盛)의 꽃으로 미호 (美好)와 행복의 상징으로 널리 애호되었다. 상고 시절에는 모란을 작약(芍葯)으로 불렀으나 당 이후 목작약 (木芍葯)을 모란이라고 불렀다. 예로부터 무릇 수도라고 일컬을 때는 모두 장수를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복숭아는 장수를 축원하는 잔치에 빼놓을 수 없는 과일이 되었다.생활과디자인[1] , 꽃담에 대해서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순서
꽃담에 대상으로하여
Download : 꽃담에 대해서.hwp( 58 )
복숭아는 일명 `서왕모의 복숭아라고 칭하기도 하기도 한다. 3천갑자 동방삭도 이 복숭아를 훔쳐 먹고 오랫동안 살았다고 한다.꽃담에 대한 설명과 우리나라와 중국의 꽃담 문양과 비교하여 쓴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