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도시사업수정본7.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9 13:24
본문
Download : 건강도시사업수정본7..ppt
3)사업목적
지금까지 보건소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건강증진사업을 지방자치제 혹은
시차원의 사업으로 확대하여, 전체의 공조직은 물론, 민간조직, NGO등 모든 지history회 자원이 집중되어서 市民의 다양한 보건의료 요구를 만족시키고 제반 보건의료 관련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궁극적인 市民의 평생 건강관리체제 구축과 함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1) 등장배경
① 기원
- 1986년 캐나다 오타와의 세계건강증진대회 이후 지역 및 국가 네트워크를 통해
운동을 확산
- 라틴아메리카의 지역보건체계, 日本 의 건강文化(문화)운동 등에서 기원
② 정책적 배경
-비만, 각종 성인병 및 고령화사회 등 건강 문제 대두
- 난개발, 교통체증, 환경오염 등 도시 문제 증가
- 비활동적 일상 및 불규칙한 식습관 등 생활양식 문제
2)history
-1978년 세계보건총회에서 알마타 선언으로 HFA제창
-1986년 WHO/유럽지구
오타와 헌장의 건강증진槪念을 기초로 도시차원에서 모든 사람을 위한 건강(HFA)
의 적용을 정부에서 의제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1개 도시에 건강도시
프로젝트 도입
-1986년 건강증진에 관한 오타와헌장이 명확한 책략 틀 제공
2. 건강도시사업의 등장배경 및 history
3. WHO 건강도시 요건…(drop)
Download : 건강도시사업수정본7..ppt( 28 )
건강도시사업수정본7,의약보건,레포트
건강도시사업수정본7.
건강도시사업수정본7. , 건강도시사업수정본7.의약보건레포트 , 건강도시사업수정본7
설명
건강도시사업수정본7.
레포트/의약보건
다.
순서
건강도시사업
1. 건강도시사업의 槪念 및 목적
1) 槪念
물리적, 사회적 환경을 지속적으로 improvement하고 창출하며, 지history회의 자원을 증대시킴으로써 도시 구성원 개개인의 능력 및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도시
2)특징
강력한 정치적 지원, 각 분야 간의 협력, 적극적인 市民의 참여, 생활터전의 활동적 통합, 건강프로필과 지역활동 계획의 개발, 주기적인 감시와 평가, 참여적 연구와 分析, 정보공유, 대중매체의 참여, 사회 내 모든 집단의 취합,지속 가능성,인적자원과 사회의 개발연계,국가와 국제적 네트워크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