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학기 교육공학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15:12
본문
Download : 20141_핵심요약노트_교육3_교육공학.pdf
Download : 20141_핵심요약노트_교육3_교육공학.pdf( 44 )
제10장 문제중심학습
제6장 교수설계 theory 과 모형
제9장 협동학습
2014년 1학기 교육공학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제4부 교수매체
1. 미국 교육工學의 history(역사) 적 발전
② 1920년대





② 1910년대
제11장 혼합학습
② 理論(이론)적 근거: 호반(Hoban)과 그의 동료들(1937)
- 시각資料를 사실성의 정도에 따라 분류: 시각화된 資料를 내용의 구체성과 추상성 정도에 따라 전체장면, 실물, 모형, 필름, 입체도, 슬라이드, 회화 사진, 지도, 도료, 언어 등으로 구분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1) 시각교육 (1900년~1930년대)
제8장 토의식 교수법
- ‘교육과정이 시각화’라는 저서에서 학교 교육과정에 시각資料를 통합
① 추상적인 槪念을 구체적인 시각資料를 사용하여 보조하면 학습효능가 높아짐
제2장 교육工學의 history(역사)
- 교육工學에서 교수매체의 분류체계를 槪念화하는데 큰 기여를 한 데일(Dale)의 경험의 원추에 많은 effect(영향) 을 끼침
제15장 최신 교수매체의 활용과 展望
- 학교교육에 필름을 처음 사용
제3부 교수방법
제12장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교육공학,방통대교육공학,방송대교육공학,교육공학요약,교육공학핵심
제14장 정보통신기술과 교육
설명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 사진, 영화필름에 관한 교사연수 실시
- 각종 시각적 매체의 교육적 가치에 관한 관심 증대
2) 기본원리
① 1990년대
순서
- 공교육에 슬라이드, 필름, 표본, 수집품 등의 교수매체 도입
제7장 강의식 교수법
제1장 교육공학의 concept(개념) 및 영역
- 시각수업에 관한 정기간행물 발간: 시각교육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
제2장 교육공학의 歷史
제5장 요구analysis(분석) 및 해결해야할문제analysis(분석)
제2부 교수설계
- 중략 -
- 시각교육관련 전문 단체 설립
제1부 교육공학의 기초 제1장 교육공학의 개념 및 영역 제2장 교육공학의 역사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제2부 교수설계 제4장 교수체제설계 제5장 요구분석 및 과제분석 제6장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제3부 교수방법 제7장 강의식 교수법 제8장 토의식 교수법 제9장 협동학습 제10장 문제중심학습 제11장 혼합학습 제4부 교수매체 제12장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제13장 교수매체 연구의 동향 제14장 정보통신기술과 교육 제15장 최신 교수매체의 활용과 전망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제공 -
제4장 교수체제설계
- 미국의 전국교육연합회 산하에 ‘시각교육국’ 설립
제13장 교수매체 연구의 동향
- 박물관 시설물을 학교교육에 활용 시도
제1부 교육공학의 기초
1) 시각교육의 history(역사)
제3장 교육공학의 theory 적 기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