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학행정]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 /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9 17:30
본문
Download :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hwp
또한 취업규칙 등에 질병이...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hwp( 56 )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 1. 무단결근을 이...
설명
다. 취업규칙 등에서 무단결근을 해고사유나 징계사유로 삼고 있는 경우, 이러한 취업규칙 등의 규정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무효라고 할 수 없고, 근로자에게 위 규정에 해당하는 무단결근 등의 사유가 있을 때 이를 이유로 해고하는 것은 정당하다.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의 정당성 판단은 구체적·개별적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 예컨대, 회사의 복무규정 등 취업규칙에서 질병 또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어 결근할 때에는 사전에 결근계를 제출하여 승낙을 받도록 하고, 전화 또는 구두로 신고하여 사전승낙을 받은 경우에도 사후에 사유서를 첨부한 결근계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면, 위 규정에 따른 결근계를 제출하지 않은 이상 실제로 질병 또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었다거나 전화 또는 구두로 신고하여 사전승낙을 받은 사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무단결근으로 취급된다. . 어떠한 경우가 무단결근인지의 문제 어떠한 경우가 “무단결근”한 것으로 취급될 것인가는 이것을 징계나 해고사유로 삼고 있는 취업규칙 등의 규정에 따라 따져 보아야 한다.
[법학행정]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 /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법학행정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 /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순서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 1. 무단결근을 이...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에 대한 법적 검토 및 판례 . 무단결근을 이유로 한 해고의 정당성 결근은 불성실 근로의 대표적 유형으로서 근로계약상 근로제공의무의 불이행이므로, 그 방지는 민사책임의 추궁과 인사고과에의 반영으로 달성하는 것이 원칙이다. 왜냐하면, 근로자가 결근을 하는 이유는 매우 다양하고 구체적인 결근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을 무단결근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 여부는 당해 사업장의 관행이나 취업규칙, 단체협약 등을 구체적으로 따져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무단결근이 기업 운영에 미치는 影響 역시 기업의 업종, 규모, 근로자의 인원 수, 시기적 property(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수단을 뛰어넘어 행해진 해고가 정당화되려면, 그러한 결근이 사용자의 작업배치나 일시적인 업무변경 등을 불가능하게 할 정도의 것으로서 장래에도 안정적인 근로의 제공을 기대할 수 없는 경우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