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pack.co.kr 한자의 이해 > healpack2 | healpack.co.kr report

한자의 이해 > healpack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healpack2

한자의 이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6 19:44

본문




Download : 한자의 이해.doc




그러므로 이 한자는 치마를 포함해서 다양한 형태의 하의를 가리킨다.
(상형자)
관련어휘(성어) 衣裳, 同價紅裳,

袖소매 수 뜻을 나타내는 衣와 음을 나타내는 由의 전음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 (형성자)
관련어휘(성어) 領袖



複 겹칠 복 뜻을 나타내는 옷의변(衣☞옷)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복)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옷을 여러 겹 겹쳐 입는 데서 일을 되풀이 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형성자)
관련어휘(성어) 複果(무화과), 複利, 複數, 複合


裁 마를 재 ‘옷을 마름질 하다’ 의 의미, 자르는 행위 또는 경감시키는 행위를 뜻한다.


설명
한자의 이해 한자의이해제5조발표1 , 한자의 이해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한자의 이해
순서


한자의이해제5조발표1
1.의복관련 부수와 활용 한자. 2
옷 의 (衣) 2
글자의 기본 2
부수 활용의 다양한 예시 2
수건 건 (巾) 4
글자의 기본 4
부수 활용의 다양한 예시 4
실 사 (絲) 6
글자의 기본 6
자체 활용의 다양한 예시 6
가죽 혁 (革) 8
기본 說明(설명) 8
자체 활용의 예 8
2. 의복을 지칭하는 한자어 9



한자의 이해 제 5조 발표
의복관련 한자 발표

1.의복관련 부수와 활용 한자.

옷 의 (衣)
글자의 기본


옷 의 衣자를 갑골문이나 금문 자형에 근거하여 分析(분석)해 보면 위에 입는 짧은 저고리 모습이다. 그 저고리는 양쪽 두 소매와 옷깃을 오른쪽으로 여민 형상으로 되어있다 옷깃을 여민 방향으로 보아 당시에 옷을 입는 습관을 짐작해 볼 수도 있다
글자의 활용 • 연의홍상 綠衣紅裳(고운자태)
• 금의야행 錦衣夜行(보람없는일)
편방의 활용 • 袖 소매 수 영수회담(領袖會談), 수수방관(袖手傍觀)
• 裳 치마 상 동가홍상(同價紅裳)
• 依 기댈 의 의지(依支)

부수 활용의 다양한 예시

1. 의류와 관계되는 명칭

裳치마 상 裳은 하의의 통칭이다. 뜻을 나타내는 옷의(衣☞옷)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부수(部首)를 제외(除 除外)한 글자 (재)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형성자)
관련어휘(성어) 裁斷, 裁判, 裁量


製 지을 제 뜻을 나타내는 옷의(衣☞옷)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制(제)가 합(合)製(제)는 옷을 만들다→물건(物件)을 만들다→만드는 일, 물건(物件)을 자르는 것을 결부시켜 생각하였으므로, 初(초)ㆍ制(제)ㆍ…(To be continued )
한자의 이해

한자의%20이해_doc_01.gif 한자의%20이해_doc_02.gif 한자의%20이해_doc_03.gif 한자의%20이해_doc_04.gif 한자의%20이해_doc_05.gif 한자의%20이해_doc_06.gif

Download : 한자의 이해.doc( 29 )


다. 고대의 남자들이 입는 아래옷 역시 裳이라고 했다.
전체 6,66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healpack.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