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31 08:30
본문
Download :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hwp
기능공양성을 위한 기능경기대회를 개최하고, 국내의 고급기술자들과 ECA섬유기술관 등의 도움으로 중견면방직기술자를 대상으로 한 25과목에 이르는 강습회를 개최하였으며 대규모 방직회사들에서는 단기양성소를 두어 이들을 양성하였다. 이들은 대한방직협회를 중심으로 기술소책자나 단행본등을 간행하여 신지식을 흡수하고자 노력하였고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우지형, 김지봉, 강창섭 등의 저서가 출간되었다.






1954년 당시에 13명의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출신들이 각 기업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단지 이들만이 대규모 면방직업체에서 활동하였... ,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1954년 당시에 13명의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출신들이 각 기업체에서 the gist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단지 이들만이 대규모 면방직업체에서 활동하였...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경영경제,레포트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
Download : 식민지시기 고등공업교육.hwp( 39 )
1954년 당시에 13명의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출신들이 각 기업체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였지만 단지 이들만이 대규모 면방직업체에서 활동하였다면 이것으로는 각 기업을 운영하는 것이 곤란했을 것이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따라서 최대설비를 보유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대구의 삼호방직과 대구방직과 더불어 유일하게 한국전쟁의 전화를 입지 않고 이 시기까지 가장 온전하게 해방 이전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었던 조선방직 부산공장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인력상황을 살펴보기로 하자.
1954년 당시 전체 명부에 기재된 전체 인원은 총 139명이었다. 이 중에서 해방 이전부터 근무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근무경력 10년 이상된 인원이 총 118명이었고 이 중에서 고등공업졸업자가 1명, 중학교 졸업자(중퇴자 포함)가 10명이었고 나머지는 모두 국민학교 졸업자로 분류되어 있따 대한방직협회, 『방직기술자 및 기능자 명부』, 1954, 1~19면.
이러한 상황은 이 공장의 기술자나 기능자 대부분이 해방 이전의 학교교육을 통하여 체계적으로 습득한 것이 아니라 회사에 취업한 이후에 기술을 익힌 것으로 보아야만 할 것이다. 그리고 공정별 강습회를 각 공장을 방문하여 개강하는 데에 김병운과 김지봉 등이 크게 활약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는 데에 경성고등공업학교 방직학과 졸업생들의 노력이 지대했다. 또한 상급기술자들을 대상으로 방직기술공개토론 및 미국방직기술을 연구하는 기술강습회도 개최하기도 하였으며 1951년 이후부터는 김병운, 김의극, 김지봉, 우범식 등이 중심이 되어 면방직기술연구발…(투비컨티뉴드 )
다.